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Router를 통한 외부 통신 정리

[3계층 장비 : Router]
  -> 3계층 Header 정보를 토대로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
  -> Broadcast Domain을 분할하는 역할(LAN환경 너머로 Broadcast를 발송시키지 않고 차단함)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역할
  -> 네트워크 경로학습("Routing Table: 관리)
     1. static routing : 관리자가 직접 네트워크 정보를 입력
     2. Dynamic routing : routing protocol을 이용하여 장비 스스로 관리

 

 

[Router를 통한 외부통신 작동방식]

Router는 RoutingTable에 자신에게 들어오는 IP주소를 1대1로 기억
이건 마치 내부통신에 switch가 MAC Address Table로 MAC주소를 1대1로 기억해놓는 것과 동일

 

예시)
(1번 LAN 환경) <----------------> router <----------------> (2번 LAN 환경)
                          PC 0, PC 1                   PC 2, PC 3

PC 0번이 PC 2번으로 외부통신을 하려는 경우 

PC 0번에서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IP주소를 router로 송신

(Gateway) router는 routing table을 통해 받는 사람 IP주소와 매칭되는 IP주소를 찾아서 유효할 경우 그 대상에게 전송하고 없을 경우 요청을 삭제

 ※ 내부통신도 이와 마찬가지로 PC 0번에서 PC 1번으로 내부통신을 하려는 경우 PC 0번이 switch로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MAC주소를 보내고, switch는 MAC Address Table에 1대1로 저장되어 있는 MAC 주소와 일치하는지 찾고 유효할 경우 전송 아닐 경우 삭제


1.  PC 0번에서 ICMP를 준비하는 동시에 router에 ARP Request를 발송

  -> router의 포트마다 MAC주소가 할당되어 있는데 이를 모르기 때문에 PC 0번에서 router로 ICMP를 전송할 수 없기 때문

  -> ARP Request(Broadcast로 진행)를 같이 발송하고 이 Requst는 router에 갔다가(router가 차단하기 때문에 router 너머로 broadcast를 발송하진 않음) 1번 LAN 환경과 연결된 router의 MAC주소를 PC 0번으로 가져옴


4. PC 0번은 알아낸 router의 MAC 주소를 통해 ICMP 발송


5. 하지만 첫 발송시 router가 PC 2번의 MAC주소를 모르기 떄문에 ICMP는 TimeOut으로 소멸


6. 따라서 PC 2번의 MAC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이번엔 router에서 2번 LAN 환경으로 ARP Request 발송


7. 앞선 과정과 동일하게 작동해서 PC 2번의 MAC주소를 routing table에 저장


8. PC 0과 PC 2번의 외부통신 정상적으로 작동

※ 외부통신을 할 때 router에서 PC 0번으로부터 들어온  MAC주소(보내는 사람 / 받는 사람)를 (PC 0번 / router 1번 MAC주소)에서 (router 2번 MAC주소 / PC 2번 MAC주소)로 자동으로 변환시켜서 전송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er 기본 설정  (0) 2022.09.17
TCP/UCP 이론 및 주요 포트 번호 정리  (0) 2022.09.06
ICMP, ARP 이론 정리  (0) 2022.09.06
Subnet 이론 정리-2  (0) 2022.09.06
Subnet 이론 정리 -1  (0) 2022.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