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Subnet 이론 정리-2

[Subnetting의 종류]

1. 균등분할 FLSM(Fixed Length SubnetMask)
- 공평하게 네트워크 나누는 형식
- 일반적인 Subneting 방식

2. 비균등분할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
- 다양한 크기의 Subnet으로 Subneting을 진행하는 형식
- Subneting 진행 -> Subnet 생성 -> 생성 된 Subnet을 이용하여 다시 Subneting을 진행



[VLSM] - 연습 문제를 통한 이해

<요구조건>
- ISP업체로부터 부여받은 대역대 : 210.123.145.0/24 Network를 할당
- 100대의 PC를 갖는 강의장 1개, 50대의 PC를 갖는 강의장 2개를 만들기 위한 VLSM 진행

※ VLSM 주의사항 : Host의 수가 많은 요구조건부터 만족시키며, 작업을 진행

210.123.145.0000 0000
255.255.255.0000 0000

210.123.145.NHHH HHHH (2^7=128)
255.255.255.1000 0000 (128) /25

210.123.145."0"000 0000 ~ "0"111 1111 (0~127)
210.123.145."1"000 0000 ~ "1"111 1111 (128~255) ->  100대의 PC를 갖는 강의장에 할당했다고 가정

예시) PC 100대 강의장 IP할당
IP : 210.123.145.129
SM : 255.255.255.128/25
GW : 210.123.145.254

         ※ 네트워크 대표주소와 브로드 캐스트 주소는 할당하지 않는걸 언제나 주의


210.123.145."0"000 0000 ~ "0"111 1111 (0~127)를 50대 PC 강의장 2개로 쪼개기

210.123.145.0|000 0000        // '|'의 앞쪽 부분은 건들이면 안됨. 처음 서브네팅 할 때 할당받은 대역대를 건들이면 안되는 것과
255.255.255.1|000 0000        //  똑같은 이치

210.123.145.0|NHH HHHH (2^6=64)
255.255.255.1|100 0000 (192)/26

210.123.145.0|"0"00 0000 ~ 210.123.145.0|"0"11 1111 (0~63)  -> A강의장에 할당
210.123.145.0|"1"00 0000 ~ 210.123.145.0|"1"11 1111 (64~127) -> B강의장에 할당

예시) PC 50대 A강의장 IP할당
IP : 210.123.145.1
SM : 255.255.255.192/26
GW : 210.123.145.62

예시) PC 50대 B강의장 IP할당
IP : 210.123.145.65
SM : 255.255.255.192/26
GW : 210.123.145.126

 

 

 


[10진수로 계산하기]

 

구성은 할당된 네트워크가 1.1.166.8/23가 속한 대역대일 때

서울, 대전, 부산에 게이트웨이 주소를 제외하고 각 126, 125, 61개의 Host가 사용 가능하게 subneting을 해줘야 하는 상황

 

구성도

먼저 정확한 네트워크 대역대를 찾아보면 prefix /23 = 254, 254일 경우 네트워크 개수는 128개

세 번째 옥텟에서 나올 수 있는 값을 살펴보면 0, 2, 4 . . 166. . 254까지

네트워크 대역대가 1.1.166.0 ~ 167.255까지 인 것과  사용가능한 호스트의 수는 512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주소를 제외한 사용가능한 host 수이므로 서울의 경우 필요한 ip 수는 127개

대표주소와 브로드 캐스트 주소를 고려하면 대역대에 총 129개의 ip가 필요하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둘로 쪼개 각 256개를 충족시킬 수 있게 subneting 한다

 

 

1.1.166.0 ~ 255/24   -> 총 ip 256개, 서울에 할당

1.1.167.0 ~ 255/24

 

서울에 1.1.166.0/24 할당 후 1.1.167.0/24를 마찬가지로 대전과 부산에 맞게 subneting 해준다

 

1.1.167.0 ~ 127/25    -> 총 ip 128개, 대전에 할당

1.1.167.128 ~ 255/25

1.1.167.128 ~ 191/26  -> 총 ip 64개, 부산에 할당

1.1.167.192 ~ 255/26

 

1.1.167.192 ~ 223/27  -> 총 ip 32개 

1.1.167.224 ~ 255/27

 

마지막으로 subneting한 네트워크는 라우터 사이의 네트워크에 할당 해준다

서버는 각 네트워크의 첫 번째 주소, PC는 두 번째 주소, 게이트웨이는 마지막 주소를 사용한다고 했을 때

다음과 같이 ip 주소를 할당해 줄 수 있다

 

할당된 ip 주소대로 인터페이스 설정과 라우팅까지 마쳤을 때

 

서울 server에서 대전,부산 server로 ping test
대전 server에서 서울,부산 server로 ping test
부산 server에서 서울, 대전 server로 ping test

아주 잘 통신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er를 통한 외부 통신 정리  (0) 2022.09.06
ICMP, ARP 이론 정리  (0) 2022.09.06
Subnet 이론 정리 -1  (0) 2022.09.06
IP 이론 정리  (0) 2022.09.06
OSI 7계층 이론 정리  (0) 2022.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