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r]
->router에는 router명령어를 switch에는 switch명령어를 사용해야함
-> RAM은 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차단되면 정보가 날아가지만, NVRAM은 별도의 저장 장치로 전원이 차단되도 그 정보를 유지함
-> config에는 running-config와 startup-config 두 가지가 있음
-> running-config는 RAM(휘발성)에 startup-config는 NVRAM(비휘발성)에 저장됨
-> 설정값들은 기본적으로 running-config에 저장됨. 즉 설정 후 NVRAM에 다시 저장을 안하면 재부팅시 설정들이 전부 사라짐
★★★★★ 명령어 :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write
[router 모드]
1. Router>enable : User mode
-> 통신 확인 정도만 가능, 사실상 쓸모가 없음
2. Router#configure terminal : Privileged Mode(관리자 모드)
-> 확인작업 용도
3. Router(config)# : Global COnfiguration Mode(전역 설정 모드)
-> 실제 세팅 작업이 가능함
[router 기본 설정]
hostname 호스명
-> 호스트네임 변경
enable password 패스워드
-> user모드에서 privileged 모드로 들어갈 때 패스워드 설정(평문)
enable password-encryption 패스워드
enable secret 패스워드
-> user모드에서 privileged 모드로 들어갈 때 패스워드를 설정(비밀번호를 암호화한 다음 저장)
username 이름 privilege 5 secret 패스워드
-> privilege는 권한 설정 5는 일반 15 같은 경우는 관리자, 관리자로 설정할 경우 콘손 연결시 관리자 모드부터 시작됨
no ip domain lookup
-> 비슷한 도메인 주소 찾는 기능을 끄는 설정
-> 실수로 잘못 입력했을 경우 입력값과 비슷한 도메인을 검색하는데
이 때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기 때문에 기능을 꺼놓는 것이 좋음
※ 자신이 입력했던 명령어를 취소 시키려면 대부분의 경우 해당 명령어 앞에 no를 붙이면 됨
[콘솔 설정]
line console 숫자
-> 몇번 콘솔 라인 설정으로 들어가기
logging synchronous
-> 터미널창에 로그형태로 실시간으로 보여주는것을 명령어 입력 도중에 로그가 떠도 이어서 입력할 수 있도록
로그와 명령어 입력을 분리시켜주는 것
exec-timeout 분 초
-> 아무동작도 안하고 있을 때 자동으로 연결종료 시켜주는 대기시간 설정
0 0은 무제한을 의미, 자동 로그아웃은 보안설정이기 때문에 실무에서 무제한 접속으로 사용하면 안됨
password 패스워드
-> 콘솔 비밀번호 입력
login
-> 콘솔에 연결할 때 로그인하도록 설정
login local
-> 로그인시 사용자(username)과 비밀번호(password) 둘 다 물어보도록 로그인 방식 설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tic Routing (0) | 2022.09.18 |
---|---|
Telnet, SSH를 이용한 router 원격 접속 (0) | 2022.09.17 |
TCP/UCP 이론 및 주요 포트 번호 정리 (0) | 2022.09.06 |
Router를 통한 외부 통신 정리 (0) | 2022.09.06 |
ICMP, ARP 이론 정리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