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Static Routing

[외부 인터페이스 설정]

show controllers serial 슬롯

  - DCE인지 DTE인지 확인하는 명령어

               *serial 케이블 - DCE : clock 신호를 주는쪽 / DTE : clock 신호를 받는 쪽

1. encapsulation 설정 : encapsulation HDLC/PPP
2. bandwidth 설정 : 일반적으로 t1(북미 표준 : 1544kbps) e1(유럽 표준 : 2048kbps) 사용   bandwidth 1544/2048

※ 2-1. clock rate : clock신호의 주기값 설정 DCE에서만 작업함 DTE는 안함
     -> clock 주기를 bandwidth와 근사치 값으로 맞춰줘야함 

         (bps 뒤에 000 세자리를 더하면 kbps임 Ex : 2048kbps -> 2048000bps)

3. ip주소 할당 : ip address ip주소 서브넷마스크
4. interface 활성화 : no shutdown

 

 

[Routing]

  - 데이터를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목적지까지 이송하는 모든 절차
  - 3계층 장비이기 때문에 3계층 헤더만 열어볼 수 있음 ( 보내는 IP주소 받는 IP주소가 포함)
  - 네트워크의 갯수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함

Static Routing (정적 라우팅 : 수동 학습)
    - 관리자가 직접  router에 필요한 정보들을 설정
    - Network의 변화에 router가 자동으로 반응하지 못함
    -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를 관리할 때 사용함


명령어 : (config)#ip route network mask {address | interface} [distance] [permanent]

network     : 학습 시키려는 네트워크 대역대의 대표주소
mask         : 서브넷마스크
address     : 학습 시키려는 네트워크로 도달하기 위한 장비의 IP주소
interface    : 내가 가진 인터페이스 이름
distance     : 신뢰도 값, 값이 낮을 수록 신뢰도가 높고 신뢰도 값에 따라 우선순위를 줄 수 있음
permanent : 정의된 static route가 routing table에서 제거되지 않도록 함

 

 

Stub Network 

  -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외부의 네트워크로 나가고 들어오는 경로가 오직 하나 뿐인 경우

[Default Route]
    - Router에 경유하는 Packet들이 Route정보를 찾지 못해 Routing할 수 없을때 Routing할 수 있게 해줌
    - ISP 업체들이 많이 사용

ip route 0.0.0.0 0.0.0.0 <Next-Hop IP : 거쳐가야 하는 다음 장비>

                                     <Exit-interface : 나가는쪽 인터페이스 슬롯>

          * 0.0.0.0 0.0.0.0 은 모든 IP주소를 포함한다는 의미


모든 네트워크는 C클래스를 사용 중일 때 5개의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구성

1.1.1.0/24      10.10.1.0/24     10.10.2.0/24     172.16.1.0/24    172.16.2.0/24 

기본 설정(내부, 외부 인터페이스)을 끝낸 구성도

 

현재 구성도의 경우 172.16.1.0/24 네트워크와 172.16.2.0/24 네트워크에서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고 들어오는 경로가

각각 router0, router1 하나 뿐이므로 stub network의 상태임을 알 수 있고 default route를 적용할 수 있다

 

router0 static routing 설정후 show ip route로 확인

 

router1 default route로 설정후 확인

 

router2도 router1과 마찬가지로 routing을 해주고 다른 대역대의 네트워크 통신이 되는지 확인해본다

 

PC0에서 PC2로 ping 통신 테스트

 

PC0에서 server로 ping 통신 테스트

 

Routing이 잘 연결되어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서버의 네트워크 대역대가 1.1.2.0/24로 바뀌었을 때

 

PC0에서 서버로 통신
PC2에서 서버로 통신

 

바뀐 네트워크 대역대를 학습하지 못해 서버와의 통신이 끊긴 router0과 다르게

default route으로 바뀐 네트워크를 문제없이 학습하여 통신에 문제가 없는 router1의 차이를 볼 수 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ynamic Routing 이론 정리  (0) 2022.10.12
DHCP  (0) 2022.10.04
Telnet, SSH를 이용한 router 원격 접속  (0) 2022.09.17
router 기본 설정  (0) 2022.09.17
TCP/UCP 이론 및 주요 포트 번호 정리  (0) 2022.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