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 Layer(참조모델)]
7 Application(응용 계층)
6 Presentaion(표현 계층) {Application 실행과 관련}
5 Session(세션 계층)
---------------------------------
4 Transport(전송 계층)
3 Network(네트워크 계층) {통신과 관련}
2 Data Link(데이터링크 계층)
1 Physical(물리 계층)
7,6,5. "Application" (EX : 택배를 보내는 행위)
->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 데이터 생성과 전송
4. "Transfort" (EX : 포장지, 에어캡)
-> 내가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에게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포장 과정
-> TCP 포장방식(안전한 포장방식) / UDP 포장방식(안정성 보다는 신속성을 중시하는 포장방식)
3. "Internet(Network)" (EX: 택배박스에 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 주소 적기)
->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에게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주소를 적는 과정
-> 우리는 대표적으로 IP주소를 사용함
2,1. "Date Link, Physical"
-> 실질적인 Network 인프라 환경, 구축 되어있는 인프라 환경을 사용할 뿐 사용자가 결정할 수는 없음
-> Data Link : 전송방식을 결정 (EX: 트럭, 배, 비행기 같은 운송수단)
-> Physical : 실제 데이터가 전달되는 케이블 (EX: 도로, 비행항로), 단위는 Bit
[Data encapsulation & de-capsulation]
-> 헤더가 중요함. 전송할 떄 각 계층별로 헤더가 추가되고, 수신할 때 각 계층별로 헤더가 제거됨
-> 5,6,7계층의 헤더와 데이터를 묶어서 데이터로 인식
-> 4계층 헤더는 TCP or UDP 헤더인자와 포트번호 등이 있음
-> 3계층 헤더는 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의 주소값이 있음
-> 2계층 헤더는 이더넷 정보를 가지고 있음, 2계층 트레일러(꼬리)는 데이터가 전송되면서 문제가 있었는지 없었는지의 정보를 담고 있음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er를 통한 외부 통신 정리 (0) | 2022.09.06 |
---|---|
ICMP, ARP 이론 정리 (0) | 2022.09.06 |
Subnet 이론 정리-2 (0) | 2022.09.06 |
Subnet 이론 정리 -1 (0) | 2022.09.06 |
IP 이론 정리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