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HSRP

HSRP(Hot Standby Routing Protocol)

  - 가상 GateWay를 만들어 한 쪽 GateWay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경로를 GateWay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중화 하는 기술

  - standby priority 값이 높은 쪽이 활성화 상태인 active, 낮은 쪽이 대기 상태인 standby이며

    서로 hello 패킷을 주고 받아 생존을 확인한다

 

 

설정

(config-if)# standby <group-num> ip <address>
(config-if)# standby <group-num> priority <value>
  - 우선순위 설정, active와 standby를 결정함, 기본값 100, 높은 우선순위 값을 가진 스위치가 active
(config-if)# standby <group-num> preempt
  - priority가 더 높은 쪽을 active로 즉시 활성화 시킴, active가 다운됐을 때 standby를 active로 바꿈

 

 

 

MHSRP
  - 그룹별로 active, standby가 가능하도록 설정
  - PVST 방식으로 vlan 마다 RB를 선정했던 것처럼 vlan마다 active, standby를 설정


구성도

Host는 하나의 GateWay 값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구성에서 Host는 GateWay로 DSW1, DSW2 둘 중 하나의 값 밖에 가질 수 없다

하지만 DSW1의 ip를 GateWay로 가졌을 때 DSW1에 장애가 생기게 되면 다른 네트워크로의 통신이 불가능 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상의 GateWay 생성을 통한 그룹화로

한 경로에 문제가 생겼을 때 다른 경로를 GateWay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중화 한다

 

 

DSW1

(config)# int vlan 10

(config-if)# standby 10 ip 192.168.16.254

(config-if)# standby 10 priority 110

(config-if)# standby 10 preempt

 

 

DSW2

(config)# int vlan 10

(config-if)# standby 10 ip 192.168.16.254

(config-if)# standby 10 priority 90

(config-if)# standby 10 preempt

 

 

DSW1

 

DSW2

DSW1, 2의 SVI가 가상의 GateWay(Virtual ip : 192.168.16.254)로 그룹화 됐고

DSW1이 Active, DSW2가 Standby 상태 인것까지 확인할 수 있다

 

Laptop 0

DHCP server로 ip를 동적으로 할당 받을 때 GateWay 값을 생성한 가상의 GateWay로 받도록 한다

 

Laptop 0

0번 노트북에서 1.1.1.1로 경로를 확인 해보면

active 상태인 DSW1(192.168.16.2)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DSW1을 통한 경로가 down 됐을 때

 

DSW2

DSW2가 Standby에서 Active로 전환되어 

 

Laptop 0

다시 0번 노트북에서 1.1.1.1까지의 경로를 확인 했을 때

DSW2 (192.168.16.3)을 GateWay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SRP설정.txt
0.00MB

 

 

 


* MHSRP

구성도

 

MHSRP 같은 경우 Vlan 마다 priority 값을 다르게 해서 RB를 선정했던 것처럼

Vlan마다 Standby priority 값을 다르게 해서 Active와 Standby를 선정하는 것이다

 

 

DSW1

(config)# int vlan 10

(config-if)# standby 10 ip 192.168.16.254

(config-if)# standby 10 priority 110

(config-if)# standby 10 preempt

(config-if)# exit

 

(config)# int vlan 20

(config-if)# standby 20 ip 192.168.17.254

(config-if)# standby 20 priority 90

(config-if)# standby 20 preempt

(config-if)# exit

 

 

DSW2

(config)# int vlan 10

(config-if)# standby 10 ip 192.168.16.254

(config-if)# standby 10 priority 90

(config-if)# standby 10 preempt

(config-if)# exit

 

(config)# int vlan 20

(config-if)# standby 20 ip 192.168.17.254

(config-if)# standby 20 priority 110

(config-if)# standby 20 preempt

(config-if)# exit

왼쪽 HSRP / 오른쪽 MHSTP

이렇게 Vlan 마다 standby priority 값을 다르게 함으로써

Vlan10 통신에서 Active는 DSW1, Standby는 DSW2

Vlan20 통신에서 Active는 DSW2, Standby는 DSW1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로드 밸런싱을 통한 네트워크 자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  (0) 2022.11.28
EtherChannel  (0) 2022.11.28
SVI  (0) 2022.11.24
PVST  (0) 2022.11.23
VLAN  (0) 2022.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