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PVST

CST(Common Spanning Tree)
  - VLAN과 상관없이 오직 하나의 STP만 운영하는 방식

 

Per VLAN STP
  - VLAN마다 따로 STP를 운영하는 방식
  - priority(기본값: 32768) + Vlan + Mac address
  -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함

 

VLAN의 Priority 값 변경
(config)# spanning-tree vlan  priority 

 


구성도

 VLAN 10, 20이 존재할 때 VLAN과 상관없이 CST 방식으로 STP를 운영했을 때의 구성도이다

왼쪽 하단의 2번 switch가 Root Bridge인 상황에서 VLAN10과 20이 통신하려면 Loop 구조 때문에 차단된 port로 인해

오른쪽 상단의 5번 switch가 연결은 되어있음에도 활용은 안되는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PVST 방식의 운영으로 변경함으로써 5번 switch 또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switch2
switch2
switch2

 

현재 RB인 2번 switch의 spanning-tree 정보를 살펴보면 각 VLAN 마다 모두 root로 선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oot Bridge는 각 네트워크마다 하나씩 존재할 수 있고

VLAN 또한 나눠진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VLAN에 따라 RB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른쪽 상단의 5번 switch를 VLAN20의 RB로 선정 되도록 priority 값을 변경 해준다

 

 

Switch5

(config)# spanning-tree vlan 20 priority 0

 

 

왼쪽 2번 오른쪽 5번 switch

다시 2번 5번 switch의 spanning-tree  정보를 살펴보면 5번 switch가 VLAN20의 RB가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swithc의 ST 정보 또한 살펴보면 현재 VLAN 20의 경우

 

 

왼쪽 3번, 오른쪽 4번 switch

왼쪽 상단의 4번 switch의 fa0/1-2 port가 block 상태이고 따라서 VLAN 20이 통신할 때 아까와 다르게

 

활용하지 않던 5번 switch을 통해서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모든 switch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herChannel  (0) 2022.11.28
SVI  (0) 2022.11.24
VLAN  (0) 2022.11.22
STP 이론 정리  (0) 2022.11.21
NAT  (0) 2022.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