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보조 DNS + VirtualHost


보조 DNS는 사용자가 server에 요청을 보낼 때 이를 분담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분산 시키는 로드 밸런싱을 위해 사용하며
주 DNS server에 문제가 생겼을 때 그 열할을 대신 해줄 수도 있다
주 DNS부터 구성 해보도록 하자

보조 DNS로 사용할 CentOS7 2, 3에 대해 update를 허용 해준다


2번 centos7의 zone 영역을 생성할 때 주 DNS로부터 zone 파일을 받아올 수 있도록 slave 설정 및 masters를 명시한다

제대로 설정됐다면 2번 CentOS7에서 DNS를 시작했을 때 자동으로 zone 파일을 1번으로부터 받아온다
3번도 이와 마찬가지로 작업 해준다
blog 와 intra 등 1개의 웹 서버에서 여러 웹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VirtualHost를 설정 해줘야 한다

apache 설정 파일에 보면 최상단에 apache 서비스 사용, 설정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는
URL이 명시되어 있으니 해당 사이트에 접속해서 확인하면 된다
https://httpd.apache.org/docs/2.4/en/


apache 설정파일에 직접 작성 해줘도 되지만 conf.d 디렉토리에 따로 virtual.conf 파일을 만들어서 작업 해본다

2번, 3번 CentOS7도 마찬가지로 작업 해주고
DocumentRoot 디렉토리안에 index.html 파일도 생성 해주도록 한다
Client에 가서 확인 해보도록 하자


생성한 도메인들이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Client에서 rwj.com에 접속하면 10.0.0.1 ~ 10.0.0.3 중 하나로 접속하게 된다



www 외에도 blog, intra 웹 페이지가 잘 동작 되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