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로 사용할 S100, S200은 랜카드 추가 후 각각 Bridge(10.10.10.X/24)와 host-only(192.168.X.10/24)로 구성
Client PC의 IP는 해당 서버의 내부망에 맞게 설정( 쓰인 윈도우 서버는 2019버전)
Routing이 안되어 있어 다른 네트워크로는 ping이 가지 않는 것을 확인
서버 관리자(compmgmtlauncher)에서 라우팅 기능 추가를 진행한다
역할 및 기능추가에서 원격 액세스, 원격 액세스에서 라우팅을 추가 해준다
배포 후 구성 같은 경우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사항이므로 시작 마법사를 실행 해준다
(이번 같은 경우 권장 작업 실행 후 오류가 뜨면 시작 마법사를 취소 해준다)
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 관리자(rrasmgmt.msc)에서 라우팅 구성 및 사용을 진행한다
서비스가 시작되면 IPv4에서 새 라우팅 프로토콜 생성(RIPv2를 사용)
생성한 라우팅 프로토콜에 새 인터페이스 등록
이때 내부 인터페이스가 아닌 외부 인터페이스에 등록 해주는 것을 주의함
(실습 환경 같은 경우 Ethernet 0이 host-only, Ethernet 1이 Bridge)
S100의 외부 인터페이스 (10.10.10.22)에 인접 라우터를 등록(S200 : 10.10.10.72)
지금까지 S100에 진행했던 과정을 마찬가지로 S200에도 진행 한다
Routing 전에는 Client끼리 통신이 불가능했던 것이 정상적으로 통신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트 힌트 (0) | 2022.12.17 |
---|---|
IIS 웹서버 및 FTP 서버 (0) | 2022.12.14 |
DNS 서버 (0) | 202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