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HTTP - 인증, 접근 제어

 주,보조 DNS 설정과 VirtualHost 설정에 이어서 인증, 접근 제어 설정을 해본다

 

구성도

blog에 대해서는 ip 별 접근 제어, intra에 대해서는 계정별 인증을 통한 접근 제어를 설정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세한 설정 방법은 https://httpd.apache.org/docs/2.4/en/에 접속해 참고하면 된다

 

1번 CentOS7
2번 CentOS7
3번 CentOS7

저번에 생성하고 작성했던 virtual.conf 설정 파일에 blog에 대해서

ip 10.0.0.101(Win11)만 접근 가능과 intra 접속 시 계정 인증 설정을 추가 해준다

계정 인증을 위해서는 htpasswd 명령어를 사용해 웹 인증용 계정을 생성 해줘야 한다

 

2번 CentOS7

/ 밑에 web 디렉토리를 하나 생성해서 그 곳에 rwj라는 웹 인증용 계정 및 .auth라는 암호화 파일을 생성 해줬다

생성 후 서버에게 어떤 사용자를 통해 인증할 것인지를 알려주기 위해

설정한 DocumentRoot 안에 .htaccess 파일을 생성 후 설정 해주도록 한다

 

/var/www/intra/.htaccess

마찬가지로 3번 CentOS7에도 설정 해준 뒤 apache 서비스 재실행 후 client에서 확인 해본다

 

왼쪽 win10, 오른쪽 win11

blog 웹 페이지의 경우 접근 허가된 10.0.0.101(win10)은 문제 없이 웹 페이지를 띄우는 반면

접근이 거부된 10.0.0.201은 정상적으로 웹 페이지를 띄우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win10 intra 접속
win11 intra 접속

intra 웹 페이지의 경우 win10, win11 둘 다 웹 페이지에 접속하려고 하자 인증용 계정을 요구했으며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자 성공적으로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in11

로그인 실패 시 인증이 확인되지 않아 접속 할 수 없다는 401 오류 페이지가 뜨면서 접속이 불가능하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ndmail & Dovecot  (0) 2022.10.11
NFS  (0) 2022.10.11
주, 보조 DNS + VirtualHost  (0) 2022.10.09
DNS + HTTP  (0) 2022.10.09
DNS 이론 정리  (0) 2022.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