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Local Repository

[Local Repository]

  - 말 그대로 로컬 저장소, 개인 저장소를 말함

  - 외부통신이 안되는 내부망에서 yum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구성해줌

 

 

createrepo

  - xml 기반의 rpm metadata repository를 생성해줌

 

  - 형식

       createrepo [옵션] 디렉토리

 

 


실습을 위해 CentOS.org에서 최신 버전의 Everything.iso 파일을 다운 받아준다

 

everything-22-7-02.iso 다운

다운 받은 iso 파일을 VMware CD-ROM에 삽입 후 CentOS7을 작동시켜 마운트 포인트에 CD-ROM을 mount 해준다

마운트 포인트로 /cd 디렉토리, local repository로 /repo 디렉토리를 사용할 예정이다

 

Packages 디렉토리를 살펴보자 온갖 패키지 파일들이 들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두 복사해서 local repository로 구성할 예정인 /repo 디렉토리에 옮겨준다

이 때 수많은 파일을 옮기는 동안 다른 작업을 하기 위해 백그라운드로 실행 해준다

(백그라운드 포그라운드에 대한 설명은 'vi 편집기 정리' 의 참고 쪽에 정리 해놓은 것을 참고하면 된다)

로컬 저장소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createrepo 패키지가 필요하니 설치가 되어 있지 않다면 yum으로 설치해주도록 하자

 

yum의 Repository 파일 위치
yum 고장내기

yum을 작동할 수 없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 백업용 /backup 디렉토리를 생성 후

yum의 repository 파일을 전부 백업 디렉토리에 옮긴다

yum으로 패키지를 설치하려고 하면 repository 파일이 없다는 메시지와 함께 성공적으로 고장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 이제 yum의 repository를 직접 추가해보자

vi 명령어로 yum의 repository 파일 위치에 local.repo라는 설정 파일을 만들고 설정 해준다

 

vi /etc/yum.repos.d/local.repo

[저장소 이름]

name        : 저장소 표시 이름

baseurl     : 저장소 주소( file://경로)

       -> /repo 디렉토리의 경로를 절대 경로로 작성해준것

enabled    : 활성화 여부 ( true=1, false=0)

gpgcheck  : gpg서명키 사용여부 ( true=1, false=0)

 

repository 생성 후 확인

repository가 잘 생성되었는지 yum repository 명령어로 사용가능한 repository를 확인 해보면

설정했던 것처럼 LocalRepository란 이름의 repository가 사용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yum -y install tree

yum이 다시 정상작동 하는지 테스트 해보면 성공적으로 tree 패키지를 설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 script로 설치 자동화 하기  (0) 2022.09.23
Source 파일로 패키지 설치  (0) 2022.09.21
패키지 관리(RPM&YUM)  (0) 2022.09.21
Quota  (0) 2022.09.20
NTFS 디스크 마운트  (0) 2022.09.20